앱토스는 총 가치 잠금(TVL)이 5억 3,8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이더리움과 지케이싱크에 이어 실물 자산(RWA) 분야에서 세 번째로 큰 블록체인으로 올랐다.
앱토스 토큰은 2025년 7월 12일에 1,131만 개(약 5,000만 달러 규모)의 토큰 언락이 예정되어 있으며, 현재 유통량의 1.75%에 해당한다.
미국 와이오밍 주정부가 추진 중인 스테이블 코인 WYST의 블록체인 후보군 중에서 앱토스가 10개 이상의 경쟁 프로젝트를 제치고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앱토스(APT) 토큰은 실물 자산(Real World Asset) 부문에서 세 번째로 시가총액이 큰 암호화폐다. 2025년 7월 12일에는 약 5,000만 달러 규모의 토큰 언락이 예정되어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에 언락되는 물량은 1,131만 개의 앱토스 토큰으로, 현재 유통 중인 물량의 약 1.75%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투자자들과 생태계 참여자들은 앱토스 토큰 가격의 향후 흐름을 지켜보고 있다.
Aptos Network RWA TVL increased 56.28% to $538 million in the last 30 days, becoming the third largest RWA network after Ethereum and ZKsync Era, with nearly $420 million in private credit, $86.93 million in U.S. Treasuries, and $30.72 million in institutional alternative funds.…
토큰 언락의 규모는 약 5,000만 달러로, 암호화폐 시장에 경계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과거 사례를 보면, 토큰 언락은 공급량 증가로 인해 단기적인 가격 하락 압력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번에 언락되는 앱토스 토큰 물량의 대부분은 커뮤니티 배분과 스테이킹 보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러한 할당 구조는 매도 압력을 완화하면서 생태계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이번 주에는 여러 개의 대규모 토큰 언락이 예정되어 있다. 솔라나(SOL)는 약 6,949만 달러 규모, 이뮤터블엑스(IMX)는 2025년 7월 11일에 1,000만 달러 이상의 규모로 토큰 언락이 예정되어 있다. 이는 토큰 언락 정보를 집계하는 플랫폼 토크노미스트(Tokenomist)의 자료에 따른 것이다.
이번 주 토큰 언락 | 출처: 우블록체인
실물 자산 총 가치 잠금 5억 3,800만 달러 돌파
앱토스의 실물 자산 총 가치 잠금(TVL: Total Value Locked)은 최근 30일간 56.28% 증가하여 현재 5억 3,800만 달러 수준이다. 해당 수치는 이더리움(ETH)과 지케이싱크(ZK)에 이어 실물 자산 부문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총 가치 잠금 중 약 4억 2,000만 달러는 민간 신용 시장, 8,693만 달러는 미국 국채, 그리고 3,072만 달러는 기관 투자자들의 대체투자 자산에 배분되어 있다.
블랙록(BlackRock)의 BUIDL,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의 BENJI, 그리고 PACT 컨소시엄의 버클리 스퀘어(Berkley Square)와 같은 주요 기관 투자자들이 이러한 성장의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아직 최종 선정된 것은 아니지만, 와이오밍 스테이블 토큰 위원회는 거래 처리 속도, 보안성, 거래 확정성, 기술 지원 등 주요 항목에서 앱토스 네트워크가 경쟁 프로젝트인 수이(SUI) 등을 앞섰다고 평가했다.
The Wyoming Stable Token Commission has placed Aptos as the highest-scoring blockchain candidate for WYST—the first fiat-backed stablecoin issued by a U.S State—tying for 1st place with Solana.
본 작가는 Caltech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분산 시스템을 주제로 석사 과정을 마쳤습니다. 지난 6년간 글로벌 핀테크 스타트업 및 Web3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체인 간 호환성, 그리고 L2 확장성 솔루션 분야에 몸담아 왔습니다.
현재는 암호화폐와 탈중앙화 기술의 실제 활용 가능성과 산업적 영향에 대한 분석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작성하고 있으며, 기술적 깊이와 시장 흐름을 함께 다룰 수 있는 드문 전문 필진으로 활동 중입니다.
기술 문서뿐만 아니라 정책 변화, 온체인 데이터 분석, 토크노믹스 설계 관련 글을 통해 독자들이 실질적인 투자 판단과 기술 이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합니다.
Share:
관련 기사
We use cookies to ensure that we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If you continue to use this site we will assume that you are happy with it.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