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LFI 코인, 소각 이슈와 트럼프 H1B 비자 정책 논쟁 속 10% 급등

WLFI 가격이 소각 승인과 트럼프의 H1B 비자 정책 논란 속에서 10% 올라 0.25달러(약 347.8 원)를 기록하며, 전반적인 시장 약세 분위기와는 다른 흐름을 보였다.

Jiwoo Jeong 작성자 Jiwoo Jeong 작성일 2 분 소요
WLFI 코인, 소각 이슈와 트럼프 H1B 비자 정책 논쟁 속 10% 급등

핵심 내용

  • WLFI 가격이 거의 만장일치로 통과된 토큰 소각안 이후 10% 급등해 0.25달러(약 347.8 원)를 기록하며 시장에 새로운 낙관론을 불러왔다.
  • 소각 메커니즘은 WLFI의 가치를 생태계 활동과 직접적으로 연동해, 거래량 증가와 함께 수요와 희소성을 강화했다.
  • 트럼프의 H1B 비자 정책 논쟁이 WLFI 언급량을 끌어올리고 트럼프 관련 기업 가치 상승으로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원하는 벤처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의 네이티브 토큰인 WLFI가 9월 21일 일요일 10% 급등해 0.25달러(약 347.8원)를 기록했다. 시가총액은 한때 60억 달러(약 8조 3,532억 원)에 도달했으나, 보도 시점에는 0.24달러(약 333.94원) 수준으로 조정됐다.

 

이번 상승세는 9월 19일 진행된 커뮤니티 투표 결과에 힘입은 것으로, 99.8%의 압도적 찬성률로 지속적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메커니즘 도입이 확정됐다. 당초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를 둘러싼 변동성으로 주목받지 못했으나, 주말 들어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토큰 소각 논의가 시장의 핵심 이슈로 부상했다.

WLFI의 소각 메커니즘은 공급량을 생태계 참여 수준에 연동해, 거래 활동이 곧 희소성과 투자자 신뢰를 강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으로 평가된다.

H1B 비자 정책 관련 미디어 이슈, 트럼프 관련 자산 가격 상승 견인

토큰 소각 이슈 외에도, WLFI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H1-B 비자(전문직 취업비자) 정책을 둘러싼 미디어 보도 확대로 추가적인 수혜를 입었다. 이민 관련 정책 제안은 다시금 정치적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금융 논의에서 트럼프의 존재감을 한층 부각시켰다.

루나크러시(LunarCrush)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Trump(트럼프)’는 암호화폐 관련 키워드 상위 10위 안에 올랐으며, WLFI 역시 상위 20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소셜 미디어 언급 급증은 정치적 논쟁이 가상자산 시장으로 번져나간 흐름을 보여준다.

이 같은 효과는 트럼프의 기업 지주사인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DJT)에도 나타났다. DJT 주가는 지난 19일 금요일 3% 상승 마감했으며, 기업가치는 48억 달러(약 6조 6,816억 원)로 늘어나 21일 일요일 WLFI 시장에서 확인된 강세 흐름과 맞물렸다.

WLFI 랠리로 시장 관심 확인… 섭드(SUBBD) 사전판매에도 탄력

WLFI 토큰 소각을 둘러싼 미디어 화제가 확산되면서, 초기 단계 프로젝트인 섭드(SUBBD)에도 시선이 쏠리고 있다.

섭드는 팬들과의 상호작용에 AI 기반 개인화 기능을 결합해, 크리에이터들이 블록체인 채널을 통해 커뮤니티를 수익화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젝트다.

현재 사전판매는 목표액 134만 달러(약 18억 6,448만 원) 중 116만 달러(약 16억 1,426만 원)를 이미 모금했으며, 토큰은 개당 0.056달러(약 78원)에 거래되고 있다. 다음 가격 조정까지 24시간 남짓 남아 있어, 참가자들은 여전히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물량을 확보할 수 있다.

섭드 사전 판매 참여하기

면책 조항: 코인스피커는 공정하고 투명한 보도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기사는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재정 또는 투자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매우 빠르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이 콘텐츠를 기반으로 어떠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반드시 별도의 조사를 수행하시기 바라며, 필요 시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권장합니다.

뉴스, 암호화폐 뉴스
Jiwoo Jeong
암호화폐 전문 기자 Jiwoo Jeong

본 작가는 <a href="https://www.caltech.edu/">Caltech</a>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분산 시스템을 주제로 석사 과정을 마쳤습니다. 지난 6년간 글로벌 핀테크 스타트업 및 Web3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체인 간 호환성, 그리고 L2 확장성 솔루션 분야에 몸담아 왔습니다. 현재는 암호화폐와 탈중앙화 기술의 실제 활용 가능성과 산업적 영향에 대한 분석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작성하고 있으며, 기술적 깊이와 시장 흐름을 함께 다룰 수 있는 드문 전문 필진으로 활동 중입니다. 기술 문서뿐만 아니라 정책 변화, 온체인 데이터 분석, 토크노믹스 설계 관련 글을 통해 독자들이 실질적인 투자 판단과 기술 이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