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금융 시장 전반에서는 여러 이벤트가 발생하며 정상적인 흐름이 흔들렸다. 우선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시장의 기대 속에 25bp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이와 동시에 미국 연준은 자산을 축소하는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 정책도 종료했다.
또한,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완화되는 전략적 완충 조치가 있었으며, 알트코인 스테이킹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소식도 전해졌다. 이러한 긍정적인 모멘텀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시장은 반등하지 못했다.
업토버(Uptober)로 불리는 10월은 전통적으로 암호화폐가 강세를 보이는 달이다. 하지만 최근 7년 만에 처음으로 암호화폐 시장은 10월을 하락 마감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왜 여전히 약세를 벗어나지 못하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테드 필로우스는 양적긴축 정책 종료는 유동성 공급 확대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즉, 시장 내 유동성이 개선되지 않았으며, 암호화폐 시장이 회복하기 위해서는 신규 자금의 지속적인 유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전에도 알트코인 시장에는 유동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리고 그 방법은 두 가지라고 설명했다.
첫째, 미국 연준이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 정책을 재개하는 것이다. 둘째, 미국 재무부가 재무부 일반계정(TGA: Treasury General Account)에 있는 유동성을 시장에 풀어버리는 것이다. 다만, 그는 현재의 시장 상황을 고려해볼 때, 첫 번째 시나리오는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분석했다.
상승장을 이끌기에는 부족한 모멘텀
테드 필로우스는 암호화폐 시장이 반등하지 못하는 두 번째 이유는 투자 심리와 위험 선호도 침체라고 말했다.
스테이블코인 점유율이 높다는 것은 개인 및 기관 투자자 모두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투자자들은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투자를 미루는 경향을 보인다.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일어난 대규모 포지션 청산과 ETF 자금 유출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1월 4일 기준, 암호화폐 시장에서 총 13억 3,000만 달러(약 1조 9,208억 원) 규모로 포지션들이 청산당했다.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도지코인(DOGE), 리플(XRP) 모두 손실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파생상품과 현물 시장 전반에서 레버리지가 축소됐다.
마지막으로 테드 필로우스는 여전히 암호화폐 시장을 짓누르고 있는 거시경제적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긴장을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불안 요인으로 인해 암호화폐 산업 내 긍정적인 심리만으로는 상승장을 이끌어가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
면책 조항: 코인스피커는 공정하고 투명한 보도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기사는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재정 또는 투자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매우 빠르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이 콘텐츠를 기반으로 어떠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반드시 별도의 조사를 수행하시기 바라며, 필요 시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권장합니다.
본 작가는 <a href="https://www.caltech.edu/">Caltech</a>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분산 시스템을 주제로 석사 과정을 마쳤습니다. 지난 6년간 글로벌 핀테크 스타트업 및 Web3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체인 간 호환성, 그리고 L2 확장성 솔루션 분야에 몸담아 왔습니다.
현재는 암호화폐와 탈중앙화 기술의 실제 활용 가능성과 산업적 영향에 대한 분석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작성하고 있으며, 기술적 깊이와 시장 흐름을 함께 다룰 수 있는 드문 전문 필진으로 활동 중입니다.
기술 문서뿐만 아니라 정책 변화, 온체인 데이터 분석, 토크노믹스 설계 관련 글을 통해 독자들이 실질적인 투자 판단과 기술 이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합니다.
Share:
관련 기사
We use cookies to ensure that we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If you continue to use this site we will assume that you are happy with it.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