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트마인은 총 152만 이더리움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66억 달러(약 9조 2,311억 원) 규모로 전체 이더리움 공급량의 1.26%에 해당한다.
또한 비트마인은 전체 암호화폐 보유 규모에서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 보유 기업이 되었다.
톰 리(Tom Lee)의 비트마인 테크놀로지(Bitmine Technologies,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코드: BMNR)는 미국에서 가장 큰 이더리움(ETH) 보유 기업으로, 최근 엄청난 거래 활동을 기록하며 테슬라(Tesla), 애플(Apple), 메타(Meta) 같은 월가 대기업들을 제쳤다. BMNR 주식 열풍은 비트마인이 막대한 이더리움 매집을 이어가는 가운데 나타난 현상이다.
비트마인(BMNR), 미국에서 월가 대기업들과 맞붙다
이더리움은 월가에서 점차 지배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비트마인 테크놀로지와 같은 상장 이더리움 보유 기업들이 거래 활동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8월 18일, 톰 리의 BMNR은 미국 전체 시장에서 10번째로 가장 많이 거래된 주식에 올랐다. 해당 주식은 일일 거래량 1,634만 달러(약 2,285억 원) 를 기록하며 테슬라, 로빈후드(Robinhood), 애플, 메타, 아마존(Amazon) 같은 주요 기술 대기업들을 거래량 면에서 앞질렀다.
Tom Lee's $BMNR, the world’s largest $ETH treasury company, is now the 10th most traded stock across all U.S. markets today 🔥
📈 Daily volume today: $16.34M 👀 Surpassing Tesla, Robinhood, Apple, Meta, and Amazon in daily share volume
이는 지난 3개월 동안 비트마인의 거래 활동이 크게 증가한 것을 고려할 때 중요한 이정표다. 스트래티직 이더리움 리저브(Strategic ETH Reserve)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 회사는 현재 총 150만 이더리움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현 시세 기준으로 약 64억4,000만 달러(약 9조 84억 원)에 달한다.
그 결과 비트마인은 경쟁사인 샤프링크 게이밍(Sharplink Gaming), 이더 머신(The Ether Machine), 더 파운데이션(The Foundation) 등 세 기업의 보유량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이더리움을 보유하게 됐다.
비트마인,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뒤이어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 보유 기업으로 부상
이더리움 보유 기업 비트마인의 최근 회사 발표 자료에 따르면 이더리움 보유량을 지난주 49억 달러(약 6조 8,544억 원)에서 이번 주 66억 달러(약 9조 2,511억 원) 이상으로 늘렸다.
현재 비트마인은 총 152만 이더리움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이더리움 공급량의 1.26% 에 해당한다. 이로써 비트마인은 전 세계 최대 이더리움 보유 기업이 되었으며, 전체 암호화폐 보유 기업 기준으로는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의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에 이어 두 번째 규모를 기록했다.
또한 이 회사는 이더리움 공급량의 5%를 보유하겠다는 목표의 25%를 달성하며, 공격적인 매집 전략과 기관 차원의 이더리움 보유 확대에서 점점 더 큰 지배력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BMNR 주식은 최근 차익 실현 움직임 속에 매도 압력을 받으며 주간 차트에서 15% 이상 조정을 겪었다. 이는 한 달 동안 40% 상승을 기록한 뒤 투자자들이 차익을 실현한 데 따른 것이다.
본 작가는 Caltech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분산 시스템을 주제로 석사 과정을 마쳤습니다. 지난 6년간 글로벌 핀테크 스타트업 및 Web3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체인 간 호환성, 그리고 L2 확장성 솔루션 분야에 몸담아 왔습니다.
현재는 암호화폐와 탈중앙화 기술의 실제 활용 가능성과 산업적 영향에 대한 분석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작성하고 있으며, 기술적 깊이와 시장 흐름을 함께 다룰 수 있는 드문 전문 필진으로 활동 중입니다.
기술 문서뿐만 아니라 정책 변화, 온체인 데이터 분석, 토크노믹스 설계 관련 글을 통해 독자들이 실질적인 투자 판단과 기술 이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합니다.
Share:
관련 기사
We use cookies to ensure that we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If you continue to use this site we will assume that you are happy with it.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