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이 다시 11만3천 달러 선을 지켜내지 못하면서 시장 불안이 커지고 있다. 29일 오후 5시 54분 현재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2.56% 내린 10만9,13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이번 조정이 단순한 숨 고르기인지, 아니면 비트코인 고점 신호인지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021년 비트코인 고점과 유사한 신호
애널리스트 알리 마르티네즈는 “비트코인 주간 차트에서 가격은 고점을 높이고 있지만 상대강도지수(RSI)는 오히려 낮아지고 있다”며 “상승 모멘텀이 약화되는 전형적인 약세 다이버전스”라고 분석했다. 이는 2021년 비트코인이 6만9천 달러 부근에서 정점을 찍기 직전과 흡사한 모습이라는 지적이다. 당시 시장은 이후 장기 약세장, 이른바 ‘크립토 윈터’로 접어들었다.
Bitcoin $BTC is making higher highs while RSI makes lower lows. This is the same divergence seen before the 2021 cycle top! pic.twitter.com/tR0IT25AVf
— Ali (@ali_charts) August 29, 2025
단기 보유자 매수세 vs 장기 보유자 매도세
스위스블록의 리서치팀 ‘알트코인 벡터’는 온체인 포지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내놨다. 장기 보유자(LTH)는 매도세로 돌아선 반면, 단기 보유자(STH)는 공격적인 매수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고래들은 여전히 관망세를 유지하며 비트코인에 뚜렷한 유입을 보이지 않고 있다. 거래소에서도 소규모 순유출이 관찰됐지만 대규모 매도로 해석할 수준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It’s no secret that profit-taking is happening in $BTC, with much of that capital rotating into $ETH.https://t.co/UeAvwWOydf
— Bitcoin Vector (@bitcoinvector) August 28, 2025
알트코인 벡터는 “고래들의 본격적인 유입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비트코인의 상승세가 제한적일 것이며, 이더리움 주도의 자금 회전이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동성 부족 속 취약한 강세장
크립토퀀트 자료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비유동성 공급량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실제 거래 가능한 유동성은 빠르게 줄고 있다. 매도 의사가 없는 지갑에 BTC가 묶여 있다는 의미로, 공급 부족 현상은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
러나 반대로 대형 매도세가 출현할 경우 유동성이 얇은 탓에 가격 조정이 더 크게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크립토퀀트는 보고서에서 “비트코인은 장기 보유자에 의해 구조적으로 지지되는 취약한 강세장에 있다”며 두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비유동성 공급이 계속 늘어난다면 비트코인은 2025년에 15만 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 반면 대규모 매도세로 유동성 공급이 회복될 경우, 비트코인은 9만~10만 달러 구간까지 급락할 위험이 있다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