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데라(HBAR) ETF, 첫 주 4,400만 달러 유입…기관 자금이 라이트코인보다 몰렸다

헤데라 가격은 4,400만 달러 규모의 ETF 순유입에도 3% 하락했다. 투자자들은 라이트코인보다 헤데라 ETF를 선호하고 있으며, 상승 모멘텀이 유지될 경우 헤데라 가격은 최대 150% 상승하여 0.5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Jiwoo Jeong 작성자 Jiwoo Jeong 작성일 4 분 소요
헤데라(HBAR) ETF, 첫 주 4,400만 달러 유입…기관 자금이 라이트코인보다 몰렸다

핵심 내용

  • 헤데라 가격은 0.19달러까지 떨어졌지만, 현물 ETF는 순유입을 기록했다.
  • 캐너리 캐피털의 헤데라 현물 ETF는 4,400만 달러 규모의 순유입을 기록하며 주요 알트코인 상품으로 부상했다.
  • 하락 쐐기형 패턴 분석에 따르면, 상승 모멘텀이 유지될 경우 헤데라 가격은 최대 0.5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10월을 13% 하락으로 마감한 헤데라(HBAR) 코인 가격은 11월 2일 24시간 동안 추가로 3% 하락하며 0.19달러(약 271원)까지 떨어졌다. 거시경제적인 역풍이 완화되면서, 기관 투자자들이 헤데라의 기업용 솔루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보였다. 또한, 4,400만 달러(약 628억 원) 규모로 헤데라 ETF에 자금이 유입되면서 긍정적인 흐름이 나타났다.

기관 투자자, 라이트코인보다 헤데라 코인 선호?

캐너리 캐피털(Canary Capital)의 헤데라 현물 ETF는 나스닥에 상장했으며, 솔라나(SOL)와 라이트코인(LTC)과 함께 10월 28일 거래 승인을 받은 알트코인 ETF다.

헤데라 가격은 상장 첫날 20일 최고가 0.21달러(약 299원)까지 급등했으나, 이후 0.19~0.20달러(약 271~285원) 사이에서 횡보하고 있다. 과거 사례를 보면 이와 같은 주요 이벤트는 단기 투자자들이 상승세에 따른 차익을 실현하려는 셀더뉴스(sell-the news) 현상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제롬 파월(Jerome Powell)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12월에 올해 네 번째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낮게 평가했다. 중국과의 무역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하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다시 약화시켰다.

헤데라 (HBAR) 가격, 2025년 11월 2일 0.19달러를 기록하며 시가총액 80억 달러 달성 | 출처: 코인마켓캡

헤데라 (HBAR) 가격, 2025년 11월 2일 0.19달러를 기록하며 시가총액 80억 달러 달성 | 출처: 코인마켓캡

그러나 소소밸류(SoSoValue)의 데이터에 따르면, 캐너리 캐피털의 헤데라 현물 ETF는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첫 거래 주간 동안 총 4,400만 달러(약 628억 원)의 순유입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해당 ETF의 순자산 규모는 4,593만 달러(약 655억 원)에 달했다. 반면, 라이트코인 ETF는 71만 9,970달러(약 10억 원)의 순유입을 기록했고, 순자산 164만 달러(약 23억 원)를 기록했다.

캐너리 캐피털의 헤데라 ETF(4,400만 달러)와 라이트코인 ETF(71만 9,970달러) 첫 주 순유입 비교 | 출처: 소소밸류

캐너리 캐피털의 헤데라 ETF(4,400만 달러)와 라이트코인 ETF(71만 9,970달러) 첫 주 순유입 비교 | 출처: 소소밸류

캐너리 캐피털의 라이트코인(LTCC)헤데라 ETF 자금 유입 규모가 차이나는 것은 기관 투자자들이 헤데라 기업용 솔루션에 더 높은 기대감을 두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시장이 결제 중심의 유틸리티를 가진 라이트코인보다 헤데라의 기술적 가치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헤데라는 ‘엔터프라이즈 우선’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대기업의 요구 조건을 충족하고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네트워크 구조와 거버넌스 모델을 설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헤데라는 미국 국방부카타르 금융센터(QFC: Qatar Financial Centre)를 비롯한 여러 규제 기관 및 정부 기관과 주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한편, 라이트코인은 글로벌 경제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게임 플랫폼 스테이크닷컴(Stake.com)이 전체 라이트코인 일일 거래량의 16%를 차지하고 있다.

일요일 기준으로 헤데라 코인 가격이 3%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자료에 따르면 헤데라의 시가총액은 77억 달러(약 11조 원)로, 라이트코인의 시가총액 71억 달러(약 10조 원)를 넘었다. 헤데라 코인은 전체 암호화폐 중 시가총액 기준 18위다.

헤데라(HBAR) 전망: 하락 쐐기형 패턴 돌파 시 0.50달러 목표가 제시

HBAR/USDT 일간 차트상 하락 쐐기형 패턴 분석에 따르면, 헤데라 코인 가격은 최대 150%의 상승 돌파 가능성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헤데라 코인 가격은 0.21달러(약 299원) 부근의 쐐기형 저항선 바로 아래에서 움직이고 있다. 해당 구조는 올해 2월 초부터 이어져온 흐름이다. 저항선을 명확히 돌파할 경우 장기적인 상승 전환 신호가 확인되며, 해당 패턴에 따르면 상승 목표가격은 0.50달러(약 714원)다.

헤데라 (HBAR) 기술적 가격 분석, 2025년 11월 2일 기준 | 출처: 트레이딩뷰

헤데라 (HBAR) 기술적 가격 분석, 2025년 11월 2일 기준 | 출처: 트레이딩뷰

현재 50일 단순이동평균선(SMA: Simple Moving Average, 노란색)은 0.20달러(약 285원) 부근에서 움직이며 단기 지지선 역할을 하고 있다. 100일선(파란색)과 200일선(초록색)은 각각 0.22달러(약 314원)와 0.20달러(약 285원) 부근에서 횡보하며 조정을 받고 있다. 이동평균선이 점점 더 좁은 범위에서 횡보할수록 가격은 어느 방향으로든 강하게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

모멘텀 지표는 상승세 쪽으로 기울어 있다. 이동평균 수렴확산(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선은 시그널선 위로 교차하며 상승 모멘텀이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대강도지수(RSI: Relative Strength Index)는 53.6으로,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ETF 승인에 대한 초기 기대감으로 단기적인 차익 실현 이후 다소 진정된 상태다.

만약 헤데라 가격이 0.21달러(약 299원) 이상에서 종가를 마감한다면, 쐐기형 패턴의 돌파가 확정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애널리스트들은 헤데라 가격이 먼저 0.28달러(약 399원)의 저항선을 테스트한 뒤, 0.35달러(약 499원)를 향해 상승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패턴상 목표 구간인 0.50달러(약 714원)까지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대로 0.18달러(약 257원) 부근의 중간 지지선을 지키지 못할 경우, 헤데라 가격은 0.15달러(약 214원) 수준까지 되돌림 조정을 받을 리스크가 있다.

면책 조항: 코인스피커는 공정하고 투명한 보도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기사는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재정 또는 투자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매우 빠르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이 콘텐츠를 기반으로 어떠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반드시 별도의 조사를 수행하시기 바라며, 필요 시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권장합니다.

더보기 – 지금 구매하기 좋은 저평가 코인 추천 — 2025년 눈여겨봐야 할 유망 코인 목록

뉴스, 암호화폐 뉴스
Jiwoo Jeong
암호화폐 전문 기자 Jiwoo Jeong

본 작가는 <a href="https://www.caltech.edu/">Caltech</a>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분산 시스템을 주제로 석사 과정을 마쳤습니다. 지난 6년간 글로벌 핀테크 스타트업 및 Web3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체인 간 호환성, 그리고 L2 확장성 솔루션 분야에 몸담아 왔습니다. 현재는 암호화폐와 탈중앙화 기술의 실제 활용 가능성과 산업적 영향에 대한 분석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작성하고 있으며, 기술적 깊이와 시장 흐름을 함께 다룰 수 있는 드문 전문 필진으로 활동 중입니다. 기술 문서뿐만 아니라 정책 변화, 온체인 데이터 분석, 토크노믹스 설계 관련 글을 통해 독자들이 실질적인 투자 판단과 기술 이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