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래티지, 4,340만 달러 투입해 비트코인 390개 추가 매수… 최대 보유 기업 지위 강화

스트래티지(Strategy)는 이번 비트코인(BTC) 매수를 포함한 선호주 발행 기반 자금 조달 전략을 통해, 연초 대비 26%의 비트코인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Jiwoo Jeong 작성자 Jiwoo Jeong 작성일 2 분 소요
스트래티지, 4,340만 달러 투입해 비트코인 390개 추가 매수… 최대 보유 기업 지위 강화

핵심 내용

  • 스트래티지(Strategy)는 STRF, STRK, STRD 선호주 매각을 통해 약 4,340만 달러(약 624억 2천만 원)의 순수익을 확보했고, 2025년 10월 20일부터 26일까지의 매수 기간 동안 비트코인 1개당 11만 1,117 달러 (약 1억 5,953만 원)의 평균 단가로 매입을 진행했다.
  • 현재 스트래티지의 비트코인 전체 보유량에 대한 누적 매입가는 약 474억 4천만 달러(약 68조 1,096억)이며, 평균 매입 단가는 7만 4,032 달러(약 1억 627만 원)이다.

스트래티지(Strategy Inc.)는 2025년 10월 20일부터 26일까지 약 4,344만 달러(약 623억 6,681만 원) 규모로 비트코인(BTC) 390개를 추가 매수했다.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스트래티지 회장은 10월 27일 해당 소식을 전하며, 올해 BTC 투자 수익률이 26%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8-K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거래는 우선주를 시장가로 직접 매각해 확보한 순수익으로 전액 충당된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래티지는 같은 기간 우선주인 STRF 175,634주, STRK 191,404주, STRD 87,462주를 매각했으며, 이번에 확보한 390 BTC의 평균 매수 단가는 11만 1,117 달러(약 1억 5,953만 원)였다.

트레저리 보유 현황 업데이트

2025년 10월 26일 기준, 스트래티지(Strategy Inc.)는 총 640,808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누적 매입가는 약 474억 4천만 달러(약 68조 1,096억 원)에 달한다.

회사의 비트코인 전체 보유 자산에 대한 평균 매입 단가는 BTC당 7만 4,032 달러(약 1억 627만 원)로 집계됐다. 해당 보고서의 서명자는 법무총괄 겸 부사장인 Wei-Ming Shao(웨이밍 샤오)로 확인됐다.

스트래티지는 2025년 3분기 비트코인 평가차익이 39억 달러(약 5조 5,985억 원) 수준으로 확대되자, 추가 매수를 위한 자본 조달 전략의 일환으로 선호주(Preferred Stock) 발행 수단을 도입했다.

비트코인 매수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설계된 STRC, STRD, STRF, STRK 시리즈 주식은 2025년 10월 3일부터 로빈후드(Robinhood)에서 거래되기 시작했다.

10월 20~26일 이뤄진 이번 매수는 정기적 추가 매수 패턴의 연장선에 있다. 스트래티지는 10월 6~12일 주간에 220 BTC를 매수했으며, 당시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총 193억 5,000만 달러(약 27조 7,808억 원) 규모의 청산 사태가 발생하는 등 극심한 변동성이 나타났다.

또한 스트래티지는 9월 말에도 196 BTC를 추가 확보했으며, 당시 평균 매입 단가는 11만 3,048 달러(약 1억 6,230만 원)였다.

스트래티지는 지속적인 자본 조달과 체계적인 매수 전략을 기반으로, 비트코인을 보유한 기업 가운데 가장 큰 보유량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이 같은 트레저리 운용 전략은 기관 차원의 지지를 받고 있는 동시에, 보유 규모에 따른 유동성 리스크를 우려하는 피터 시프(Peter Schiff)의 비판처럼 부정적 시각도 함께 존재한다.

회사는 다양한 시장 환경에서도 매수를 이어가기 위해 복수의 주식 발행 수단을 활용하며 비트코인 매입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뉴스, 암호화폐 뉴스
Jiwoo Jeong
암호화폐 전문 기자 Jiwoo Jeong

본 작가는 <a href="https://www.caltech.edu/">Caltech</a>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분산 시스템을 주제로 석사 과정을 마쳤습니다. 지난 6년간 글로벌 핀테크 스타트업 및 Web3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체인 간 호환성, 그리고 L2 확장성 솔루션 분야에 몸담아 왔습니다. 현재는 암호화폐와 탈중앙화 기술의 실제 활용 가능성과 산업적 영향에 대한 분석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작성하고 있으며, 기술적 깊이와 시장 흐름을 함께 다룰 수 있는 드문 전문 필진으로 활동 중입니다. 기술 문서뿐만 아니라 정책 변화, 온체인 데이터 분석, 토크노믹스 설계 관련 글을 통해 독자들이 실질적인 투자 판단과 기술 이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