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0억 달러 규모 밈코인 시장… 스노터봇, 250만 달러로 본격 행보

On 7월 29, 2025 at 10:15 오후 UTC by · 5 분 read

솔라나(SOL) 창립자인 아나톨리 야코벤코(Anatoly Yakovenko)가 최근 밈코인과 대체 불가능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은 본질적인 가치가 없다고 발언하며 암호화폐 커뮤니티 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솔라나(SOL) 창립자인 아나톨리 야코벤코(Anatoly Yakovenko)가 최근 밈코인과 대체 불가능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은 본질적인 가치가 없다고 발언하며 암호화폐 커뮤니티 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등 주요 암호화폐와 같은 가치 제안은 없지만, 밈코인과 대체 불가능 토큰은 강력한 팬덤이라는 지지 기반이 있다. 이러한 팬덤을 기반으로 현재 밈코인과 대체 불가능 토큰의 시가총액은 840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 스노터(SNORT) 프로젝트는 유망한 암호화폐를 식별하고 트레이더들이 더 나은 투자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젝트다.

스노터 프로젝트는 솔라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발된 텔레그램 트레이딩 봇으로, 밈코인 시장에서 높은 수익률이 기대되는 암호화폐를 선별적으로 탐색하도록 설계되었다. 솔라나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스노터 프로젝트는 다른 경쟁 플랫폼보다 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스노터 프로젝트는 현재 사전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250만 달러 넘게 모금했다. 현재 스노터 토큰의 판매 가격은 0.0995달러이며, 약 5시간 뒤에 가격이 인상될 예정이다.

솔라나 창립자 아나톨리 야코벤코, 밈코인 일축

지난 1년간 솔라나 가격이 폭발적으로 상승한 이유는 밈코인 거래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 열풍 속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밈코인들이 등장했다. 봉크(BONK) 토큰의 시가총액은 26억 달러에 달하며, 펏지 펭귄(PENGU) 토큰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도그위프햇(WIF)은 11억 달러, 오피셜 트럼프(TRUMP) 토큰은 약 20억 달러 규모다.

또한 펌프펀(Pump.fun) 플랫폼의 등장으로 밈코인 발행은 더 쉬워졌다. 수십만 개의 밈코인이 일반 투자자들에 의해 발행됐으며, 이들 중 다수는 코딩 경험이 전혀 없는 사용자들이다. 현재까지 이 플랫폼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기록한 토큰 중 하나는 파트코인(FARTCOIN)으로, 시가총액이 13억 달러에 달한다.

밈코인 거래 활성화로 인하여 솔라나 블록체인의 수익과 거래량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5년 6월 기준으로 밈코인은 솔라나 전체 네트워크 수익의 약 62%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야코벤코가 밈코인은 본질적인 가치가 없다고 언급한 것은 암호화폐 커뮤니티 내에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출처: 신디카

밈코인이 다른 주요 암호화폐와 달리 실질적인 유틸리티를 갖추고 있지 않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러나 밈코인의 가치는 커뮤니티에 기반한다. 도지코인(DOGE)은 대표적 사례다. 비트코인을 풍자하기 위해 발행된 도지코인의 시가총액은 현재 362억 달러로, 전체 암호화폐 중에서 8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유틸리티를 제공하는 카르다노(ADA)의 시가총액 300억 달러보다 높다.

이처럼 밈코인은 기술적인 기능이 아닌, 이를 지지하고 유지하는 커뮤니티의 신뢰와 열정에 따라 가치가 결정된다는 점에서 독특한 자산군으로 분류된다.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에너지가 곧 이들의 내재 가치이며, 이러한 힘이 이른바 ‘농담처럼 시작된 자산’들을 급등하게 만든 원동력이다.

하지만, 이러한 가치를 정략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 공식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밈코인 시장에서 투자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다수의 투자자들보다 먼저 움직이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이를 직접 진행하는 것은 번거로울 수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자동화 도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솔라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스노터 봇이 유망한 밈코인을 급등하기 전에 선별하고 탐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스노터 봇의 밈코인 탐색 비결

스노터 봇의 주요 유틸리티 중 하나는 패스트 스나이퍼(Fast Sniper)로, 토큰이 급등하기 전에 이를 사전에 포착하고 다른 투자자들보다 먼저 매수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능이다. 해당 기능은 블록체인의 메인풀(mempool)과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유동성 제공, 신규 거래쌍 생성 등의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레이디움(Raydium)이나 주피터(Jupiter)에서 거래가 가능해지는 즉시 밀리초 단위로 매수 주문을 실행한다.

패스트 스나이퍼는 다수의 텔레그램 기반 트레이딩 봇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기능으로, 사용자에게 경쟁 우위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트레이딩 봇이나 트레이더들이 토큰을 확인하기도 전에 선제적으로 매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속도는 스노터 봇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프라이빗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 Remote Procedure Call) 엔드포인트 덕분에 더욱 강화된다. 해당 인프라는 신규 유동성 풀이나 거래쌍이 생성되는 즉시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솔라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구조 덕분에 이러한 기능은 더욱 강화된다. 초당 수천 건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속도와 낮은 거래 수수료 덕분에, 사용자들은 더 빠르게 거래를 실행하고 과도한 슬리피지(slippage)나 높은 거래 수수료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기반은 아직 이더리움 위주로 작동하는 다른 트레이딩 봇보다 스노터 봇이 우위를 점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스노터 봇은 사용자들이 불공정한 트레이딩 봇 공격으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도록 최대추출가치(MEV: Maximal Extractable Value) 보호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이 기능은 프론트 러닝(Front running)이나 샌드위치 공격을 차단하며, 인위적으로 매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공격은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한 투자자는 유니스왑(Uniswap) v3에서 220,764달러 상당의 USD 코인(USDC)을 테더(USDT)로 교환하려다가 단 몇 초 만에 약 215,500달러를 잃었다.

수초 만에 약 25만 달러는 잃는 상황은 결코 가벼운 일이 아니며, 스노터 프로젝트 개발팀도 이러한 리스크를 명확히 인식하고 있다. 그래서 스노터 프로젝트는 처음부터 프론트 러닝 및 MEV 방지 기능을 탑재했다. 여기에 더해, 악성 스마트 컨트랙트를 탐지하는 허니팟(Honeypot) 탐지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이 기능은 투자자의 자산을 잠금하려는 목적으로 설계된 위험한 컨트랙트를 사전에 경고한다.

두 가지 보호 기능은 모두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초고속 거래 실행에만 집중할 수 있다.

스노터 토큰, 텔레그램 트레이딩 봇의 새 시대를 여는 밈코인

스노터 봇은 유망한 밈코인을 탐색하는 도구이면서, 동시에 자체적으로도 밈코인 성격을 가진 하이브리드 프로젝트다. 밈 문화 요소를 활용하여 브랜딩하며, 실제를 갖춘 유틸리티를 탑재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강력한 텔레그램 기반 트레이딩 봇으로 성장하고 있다.

스노터 생태계의 핵심은 스노터 토큰이다. 이미 사전 판매를 통해 250만 달러 넘게 모금했으며, 스노터 봇의 핵심 기능을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수수료 지급, 트레이딩 리그 참가, 알고리즘 업그레이드 활성화, 카피 트레이딩, 상위 트레이더 팁 기능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스노터 토큰을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실질적인 유틸리티가 제공된다. 단순히 보유하기만해도 거래 수수료는 0.85% 수준까지 낮아져,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유틸리티는 향후 스노터 프로젝트의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출범과 함께 더욱 확장될 예정이다. DAO를 통해 토큰 보유자들은 수수료 구조, 새로운 블록체인 통합, 재정 운용 등에 대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의 발전 방향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초기 투자자들은 스테이킹을 통해 포지션을 구축할 수 있다. 현재 스노터 토큰의 스테이킹에 따른 예상 보상률은 167%다. 토큰이 정식으로 출시되기 전에 지분 가치를 늘릴 수 있는 기회다.

현재까지 1,400만 개가 넘는 스노터 토큰이 스테이킹되었으며, 커뮤니티의 높은 참여도와 장기 보유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다.

스노터 토큰 사전 판매 참여 방법

스노터 프로젝트에는 두 가지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 첫번째는 향후 스노터 봇의 실제 사용자로 참여하거나, 초기 투자자로서 스노터 토큰을 구매하여 개발팀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어떤 방식이든 스노터 토큰은 핵심 역할을 한다. 스노터 토큰의 사전 판매에 참여하려면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된다. 솔라나, 이더리움, 바이낸스 코인(BNB), 테더, USDC 혹은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다.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위해서는 베스트 월렛(Best Wallet)과 같은 암호화폐 지갑을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베스트 월렛은 앱 내에서 스노터 토큰의 사전 판매 잔액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지갑이다. 또한, 업커밍 토큰(Upcoming Tokens) 기능을 통해 향후 신규 토큰이 출시되면 독점적으로 투자 기회를 잡을 수 있다.

베스트 월렛은 현재 구글 플레이애플 앱스토어에서 구매할 수 있다.

스노터 프로젝트 관련 최신 소식은 X(구 트위터) 혹은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노터 토큰 사전 판매 참여하기

Share: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