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아시아 최초로 솔라나 ETF 승인… SOL 거래량 급증으로 이어져

홍콩이 최초로 솔라나 현물 ETF를 승인하면서, 솔라나 거래량이 40% 급등하여 80억 달러를 기록했다.

Jiwoo Jeong 작성자 Jiwoo Jeong 작성일 2 분 소요
홍콩, 아시아 최초로 솔라나 ETF 승인… SOL 거래량 급증으로 이어져

핵심 내용

  • 홍콩이 최초로 솔라나 현물 ETF를 승인했다.
  • 투자 심리가 개선되면서 솔라나 거래량이 40% 급증하여 80억 달러를 기록했다.
  • 애널리스트들은 솔라나의 견고한 기술적 기반이 향후 기관 투자 확대를 이끌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홍콩이 첫 솔라나(SOL)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공식적으로 승인하며, 아시아 대표 암호화폐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한 걸음을 내디뎠다.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는 10월 22일 차이나AMC 솔라나 ETF를 승인했다.

홍콩경제일보 보도에 따르면, 이번 ETF는 중국 위안화와 미국 달러화 거래를 모두 지원하여 투자자가 선호하는 통화로 거래 및 결제할 수 있다. 각 단위는 100주로 구성되며, 최소 투자금액은 약 100달러(약 14만 3,900원) 수준이다.

해당 상품은 10월 27일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할 예정이다.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인 OSL 익스체인지가 거래를 지원하고, OSL 디지털 시큐리티즈가 하위 수탁기관 역할을 한다.

차이나AMC의 운용보수는 0.99%로, 추가 보관 및 관리 수수료는 펀드 순자산가치(NAV: Net Asset Value)의 1% 이내로 제한됐다. 이에 따라 연간 총비용비율(TER: Total Expense Ratio)은 약 1.99% 수준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언제 솔라나 현물 ETF를 승인할까?

홍콩이 이번에 솔라나 현물 ETF를 승인한 것은 다른 지역의 트렌드를 따른 것이다. 브라질은 지난해 세계 최초로 솔라나 현물 ETF를 도입하며, 솔라나의 글로벌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미국 규제 당국은 아직까지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비트와이즈(Bitwise), 21셰어스(21Shares), 반에크(VanEck) 등 주요 자산운용사들이 솔라나 현물 ETF를 신청했으나, 현재 검토 단계에 머물러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는 정부 셧다운 여파로 인한 인력 부족 문제로 심사 과정이 지연되고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2025년에 미국 내 최초의 솔라나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지만, 구체적인 시점은 아직 불확실하다고 분석한다.

JP모건(JP Morgan)은 솔라나 현물 ETF에 출시 첫해 약 15억 달러(약 2조 1,585억 원) 규모의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은 온체인 거래 활동의 증가와 맞물려 있다. 최근 몇 주간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 Binance Smart Chain)에서 밈코인이 주도하던 거래 흐름이 솔라나 기반의 펌프펀(Pump.fun) 플랫폼으로 다시 이동하고 있다.

더보기: 2025년~2030년 솔라나 전망은?

솔라나 거래량 40% 급증

솔라나 현물 ETF 승인 소식과 동시에 솔라나 24시간 거래량이 40% 급증하며 80억 달러(약 11조 5,120억 원)를 기록했다. 솔라나 코인 가격은 184달러(약 26만 4,776원) 부근에서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솔라나 코인 가격은 올해 10월 초 230달러(약 33만 970원)를 상회했으나, 이후 한 달간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약세 흐름 속에서 16.5% 하락했다.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비트구루(BitGuru)는 솔라나가 여전히 기술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180달러(약 25만 9,020원) 부근의 핵심 지지선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단기적으로 솔라나 가격이 195달러(약 28만 605원)를 명확히 돌파할 경우, 시가총액 6위인 솔라나가 210~220달러(약 30만 2,190원~31만 6,580원) 구간까지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면책 조항: 코인스피커는 공정하고 투명한 보도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기사는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재정 또는 투자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매우 빠르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이 콘텐츠를 기반으로 어떠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반드시 별도의 조사를 수행하시기 바라며, 필요 시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권장합니다.

뉴스, 암호화폐 뉴스
Jiwoo Jeong
암호화폐 전문 기자 Jiwoo Jeong

본 작가는 <a href="https://www.caltech.edu/">Caltech</a>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분산 시스템을 주제로 석사 과정을 마쳤습니다. 지난 6년간 글로벌 핀테크 스타트업 및 Web3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체인 간 호환성, 그리고 L2 확장성 솔루션 분야에 몸담아 왔습니다. 현재는 암호화폐와 탈중앙화 기술의 실제 활용 가능성과 산업적 영향에 대한 분석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작성하고 있으며, 기술적 깊이와 시장 흐름을 함께 다룰 수 있는 드문 전문 필진으로 활동 중입니다. 기술 문서뿐만 아니라 정책 변화, 온체인 데이터 분석, 토크노믹스 설계 관련 글을 통해 독자들이 실질적인 투자 판단과 기술 이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