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DC 발행한 서클(Circle), 신규 오픈 레이어 1 블록체인 아크 공개

USDC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서클이 스테이블 코인 결제를 위한 기업용 인프라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오픈형 레이어 1 블록체인 아크를 공개했다.

Jiwoo Jeong 작성자 Jiwoo Jeong 작성일 2 분 소요
USDC 발행한 서클(Circle), 신규 오픈 레이어 1 블록체인 아크 공개

핵심 내용

  • 서클이 스테이블코인 금융을 위해 설계된 EVM 호환 레이어 1 아크 블록체인을 공개했다.
  • 아크는 USDC 코인을 사용해 거래 수수료를 스테이블코인으로 직접 지불할 수 있다.
  • 아크 블록체인은 1초 미만 결제 처리 속도, 통합형 외환 엔진, 선택적인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USDC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서클(Circle)이 오픈형 레이어 1 블록체인 아크(Arc)를 공개했다. 아크 블록체인은 스테이블코인 결제, 외환 거래, 자본시장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블록체인이다.

아크는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Ethereum Virtual Machine)과 호환되며, 거래 수수료를 USDC 코인으로 지불할 수 있다. 테스트넷은 가을에 출시될 예정이다.

아크 블록체인의 주요 특징

서클에 따르면, 아크 블록체인은 스테이블코인 금융을 위해 특화된 블록체인이다. 통합형 스테이블코인 외환 엔진, 1초 미만의 결제 처리 속도, 선택적인 개인정보 보호 기능 등을 제공한다.

아크 블록체인은 서클이 운영하는 기존 플랫폼과 서비스에 통합될 예정이며, 이미 USDC 코인을 지원하는 수십 개의 다른 블록체인과도 상호 운용이 가능하다.

스테이블코인 속도와 확정성에 집중

범용 블록체인과 달리 아크는 스테이블코인 거래 처리 속도, 비용 효율성, 그리고 기업 수준의 규제에 맞춰 최적화하는데 집중한다.

아크 블록체인의 목표는 결제, 국경간 결제, 자본시장 운영 등 스테이블코인이 이미 효용성을 입증했지만 대형 블록체인에서 여전히 확장성과 혼잡 문제를 겪고 있는 영역에 대해, 지연 시간이 짧고 원활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서클은 아크 블록체인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더 빠르고 저렴한 송금 및 수취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또한, 거래의 투명성과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규제 친화적인 설계 요소도 포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 큰 전략의 일부

서클이 20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아크 블록체인도 공개했다. 서클이 6월에 12억 달러(약 1조 6,200억 원) 규모로 기업공개(IPO)를 진행한 이후, 상장사로서 처음으로 진행한 실적 발표였다.

미국 상원에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 체계를 제정하는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를 찬성 68표, 반대 30표로 통과시키자, 서클 주가는 약 34% 급등했다.

해당 분기 동안 유통중인 USDC 코인은 전년 대비 90% 증가한 613억 달러(약 82조 7,500억 원)를 기록했으며, 8월 10일 기준으로는 652억 달러(약 88조 200억 원)까지 늘어났다. 매출은 전년 대비 증가한 6억 5,800만 달러(약 8,900억 원)를 기록했으며, 조정 EBITDA는 52% 상승하여 1억 2,600만 달러(약 1,700억 원)를 기록했다.

아크 블록체인의 향후 계획

아크 블록체인의 테스트넷은 2025년 하반기에 제공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개발자들과 기업들은 스테이블코인 거래 효율성을 위해 설계된 블록체인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성공할 경우, 아크 블록체인은 글로벌 수요를 활용하면서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안정성을 갖추고 규제를 준수하는 새로운 암호화폐의 기준을 세울 수 있다.

뉴스, 알트코인 뉴스, 암호화폐 뉴스
Jiwoo Jeong

본 작가는 Caltech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분산 시스템을 주제로 석사 과정을 마쳤습니다. 지난 6년간 글로벌 핀테크 스타트업 및 Web3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체인 간 호환성, 그리고 L2 확장성 솔루션 분야에 몸담아 왔습니다. 현재는 암호화폐와 탈중앙화 기술의 실제 활용 가능성과 산업적 영향에 대한 분석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작성하고 있으며, 기술적 깊이와 시장 흐름을 함께 다룰 수 있는 드문 전문 필진으로 활동 중입니다. 기술 문서뿐만 아니라 정책 변화, 온체인 데이터 분석, 토크노믹스 설계 관련 글을 통해 독자들이 실질적인 투자 판단과 기술 이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