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의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은 10월 2조 8,200억 달러로 급증하며 역대 최고치를 갱신했고, 유니스왑은 1,709억 달러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DEX 시장을 주도했다.
10월 이더리움(ETH) 기반 스테이블코인 생태계가 급격히 성장하며, 월간 거래량 기준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전체 암호화폐 시장이 불확실성 속에서 흔들리자 투자자들이 안정적인 자산과 수익형 투자 전략을 채택한 영향이다.
이더리움 네트워크, 스테이블코인 시장 점유
데이터 제공업체 더블록(The Block)에 따르면, 10월 이더리움 네트워크 내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은 2조 8,200억 달러(약 4,057조 원)로 집계됐다. 9월에 기록했던 1조 9,400억 달러(약 2,791조 원) 대비 45% 급증했다. 해당 수치는 과거 월간 최고치를 넘어서는 규모로, USDC가 1조 6,200억 달러(약 2,331조 원), 테더(UDST)가 8,955억 달러(약 1,288조 원)로 상승세를 주도했다. 두 자산 모두 거래량이 크게 증가했다.
반면 메이커다오(MakerDAO)의 DAI 코인은 1,360억 달러(약 195조 원)로 3위를 차지했으며, 9월 대비 소폭 감소했다. 이는 올해 5월에 기록한 4,707억 달러(약 677조 원) 대비 크게 줄어든 수치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암호화폐 생태계 전반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 부문이다. 10월 한 달 간 전체 프로토콜의 수익 중 65~70%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서 발생했으며, 이는 대출 플랫폼, 탈중앙화 거래소(DEX),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토콜 등을 모두 상회하는 수준이다.
탈중앙화거래소 거래량 급증… 유니스왑 1,709억 달러로 선두 유지
디파이라마(DefiLlama)에 따르면, 10월 전체 DEX 거래량은 6,133억 달러(약 882조 원)로, 9월에 기록한 약 5,000억 달러(약 719조 원) 대비 크게 증가했다. 유니스왑(Uniswap)은 1,709억 달러(약 245조 원)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유지했다. 팬케이크스왑(PancakeSwap)은 1,019억 달러(약 146조 원)로 그 뒤를 이었다.
DEX 대비 CEX 거래 비율은 19.84%로 상승하며, 투자자들의 탈중앙화 플랫폼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CEX는 올해 1월 이후 가장 높은 거래량을 기록했으며, 10월 총 2조 1,700억 달러(약 3,122조 원)로 전월 대비 28% 증가했다.
바이낸스(Binance)가 8,104억 달러(약 1,166조 원)로 시장을 주도했다. 게이트(Gate)가 1,756억 달러(약 252조 원), 바이비트(Bybit)가 1,569억 달러(약 225조 원), 비트겟(Bitget)이 1,347억 달러(약 193조 원)를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온체인 활동 둔화에도 이더리움 기본 지표는 견조
한편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온체인 지표는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에 따르면, 일일 활성 주소 수는 8월 중순 약 48만 개에서 10월 말 36만 3,000개로 24% 감소했다.
또한 시장 밸류에이션 지표인 시가총액 대 실현가치 비율(MVRV:Market Value to Realized Value) 비율도 1.85에서 1.50으로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수익률이 하락하고 시장이 점차 중립적인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더리움 MVRV 비율 | 출처: 크립토퀀트
크립토퀀트 애널리스트들은 이더리움의 실현가격(Realized Price)이 현재 2,560달러(약 368만 원) 수준에 형성되어 있으며, 시장이 공포와 탐욕 사이의 중립 구간에 있다고 평가했다. 과거 MVRV 비율이 1.5 수준에 근접했을 때는 대체로 강한 변동성이 뒤따랐다.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현재 약 3,700달러(약 532만 원) 선에서 횡보하고 있다. 이는 한 달 동안 17%, 최근 24시간 동안 5.5% 하락한 수준이다. 애널리스트들은 이더리움 가격이 3,840달러(약 552만 원)의 지지선을 유지할 경우 4,200~4,500달러(약 604만~647만 원)까지 반등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해당 지지선이 붕괴될 경우 3,200~3,560달러(약 460만~512만 원) 구간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더보기 – 2025년~2030년 이더리움 전망 — 이더리움 미래 트렌드 및 이더리움 가격 분석
면책 조항: 코인스피커는 공정하고 투명한 보도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기사는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재정 또는 투자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매우 빠르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이 콘텐츠를 기반으로 어떠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반드시 별도의 조사를 수행하시기 바라며, 필요 시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권장합니다.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