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고래 매도세 확대… 온체인 데이터는 여전히 강세 신호

On 9월 17, 2025 at 10:08 오후 UTC by · 3 분 read

이더리움(ETH) 고래 투자자들이 9만 ETH를 매도하면서 가격이 잠시 4,500달러 아래로 하락했지만, 온체인 데이터는 여전히 이더리움의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더리움(ETH) 시장에 단기적 하락 압력이 감지되고 있다. 대표적인 암호화폐 분석가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는 최근 48시간 동안 이더리움 고래들이 무려 90,000 ETH를 매도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가로 환산 시 수억 달러에 달하는 물량으로, 시장 전방에 하방 압력을 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대량 매도는 이더리움 가격을 한때 4,500달러 아래로 끌어내리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이내 가격은 반등에 성공하며 현재 약 4,543.85달러 수준에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데이터 기준으로 지난 1주일 동안 이더리움은 약 5% 이상 상승하며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씨티 그룹의 보수적 이더리움 전망… 현실 반영 못한 수치?

로이터 통신(Reuters)은 씨티그룹(Citigroup)이 2025년 말까지 이더리움의 목표가 전망을 4,300달러로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ETH가 최근 4,955달러의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점을 감안할 때 상당히 보수적인 입장으로 평가된다.

씨티는 이번 이더리움 전망에서 거시 경제 리스크, 규제 불확실성, 급등 이후 조정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온체인 데이터 전문 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씨티의 전망이 지지선 역할에 더 가까우며, 이더리움의 실제 가격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반박했다. 즉, 씨티가 제시한 4,300달러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지켜질 수 있는 하한선일 뿐이라는 분석이다.

이더리움 온체인 데이터는 강세… 스테이킹 유입, 거래소 보유량 모두 감소

이더리움의 온체인 데이터는 오히려 강세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크립토퀀트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중반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이더리움 스테이킹 유입량이 최근 관찰되었다. 특히 8월 14일부터 9월 4일까지 스테이킹 유입이 꾸준히 증가했으며, 8월 25일에는 30만 8,000 ETH라는 단일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7일 이동평균 기준으로 15만 ETH 수준이 유지됐으며, 이는 이더리움 유통량의 감소와 함께 검증인들의 자신감을 반영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고점 부근에서 이더리움을 스테이킹에 맡기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것은 장기적인 상승 가능성에 대한 신뢰가 강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이더리움 스테이킹 총 유입량 | 출처: 크립토퀀트

또한, 중앙화 거래소의 ETH 보유량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 요소다. 이는 단기 매도 압력을 줄이며, 공급 충격 가능성을 낮추고 가격 상승을 촉진할 수 있는 구조적 환경을 마련해 준다.

이더리움 가격 전망: 조정 마무리 후 다시 상승 흐름 가능할까?

기술적 분석가 자본 막스(Javon Marks)는 이더리움이 최근 4,811.71달러의 저항선을 돌파한 후 건강한 조정 구간을 거쳤으며, 이제 다시 상승 국면에 진입할 수 있는 조건을 갖췄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더리움이 다시 해당 저항선 위로 안착할 경우, 다음 목표가는 8,557.68달러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는 현재 가격 대비 약 77%의 상승 여력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현재 이더리움은 4,500달러 이상에서 지지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조정 국면이 사실상 마무리되고 다음 상승 단계로 넘어갈 준비가 끝났음을 시사한다. 온체인 데이터와 시장 구조 모두가 강세 흐름에 무게를 싣고 있다는 점에서, 이더리움은 여전히 2025년을 대표할 주요 암호화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면책 조항: 코인스피커는 공정하고 투명한 보도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기사는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재정 또는 투자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매우 빠르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이 콘텐츠를 기반으로 어떠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반드시 별도의 조사를 수행하시기 바라며, 필요 시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권장합니다.

Share: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