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정보분석원(FIU)은 여러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자금세탁방지 법규 위반 사항을 발견함에 따라, 이들에 대해 중대한 제재를 준비하고 있다.
한국 금융정보분석원(FIU)이 국내 암호화폐 업계를 대상으로 규제를 대폭 강화하고 나섰다. 금융 당국은 대형 거래소 대부분이 강력한 제재 대상에 오를 것이라며, 사실상 업계 전반을 겨냥한 고강도 조치를 예고한 상태다.
FIU는 이번 조치가 자금세탁방지(AML) 규정 위반, 특히 고객 신원 확인(KYC) 미준수, 의심 거래 보고 미이행 등에 대한 제재라고 강조했다. 즉, 행정 관리 차원이 아니라 법적 의무 위반에 대한 수사, 징계 성격이 강하다.
국내 언론 보도에 따르면, FIU는 제재 절차를 ‘선입선출’ 방식으로 진행할 방침이다. 먼저 점검 받은 거래소부터 순차적으로 처벌이 내려질 예정이라는 의미다.
이미 업계 1위 거래소인 업비트(Upbit)의 운영사 두나무는 FIU로부터 총 352억 원에 달하는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이는 업계 내에서도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의 제재다.
두나무는 CEO에 대한 경고 조치와 함께 신규 고객의 입출금 서비스를 3개월간 중단하라는 행정 명령도 함께 받았다. 이를 통해 내부 통제 강화 및 AML 시스템 개선을 유도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FIU가 작성한 제재 문서에 따르면, 코빗(Korbit), 고팍스(GOPAX), 빗썸(Bithumb), 코인원(Coinone) 등 주요 거래소가 다음 제재 대상으로 지목돼 있다. 다만 빗썸은 최근에 점검을 받은 만큼 처분 시점이 다소 늦춰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해졌다.
보도에 따르면 FIU가 준비 중인 제재는 기관 차원의 경고(영업 일부 제한 포함), 경영진 및 직원 대상 개인 징계, 신규 사업 제한, 대규모 금전적 과태료 부과 등 범주로 구성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과태료는 각 거래소의 위반 정도에 따라 수백억 원에서 최대 수천억 원대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예컨대 두나무 사례와 같이 기업 대표에 대한 경고 조치와 함께 실질적 영업 제약이 동반될 경우, 거래소 운영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수 있다.
한국 암호화폐 시장, 글로벌 주요 진입 시장으로 부상
이처럼 규제가 강화되는 한편, 한국은 여전히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암호화폐 시장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 분석에 따르면, 2024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약 640억 달러, 한화 약 86조 원 규모의 스테이블코인이 원화로 거래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한국 시장의 성장은 전문 투자자 중심으로 나타났다.
바이낸스(Binance)와 바이비트(Bybit) 같은 글로벌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도 한국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다.
바이낸스는 2년 만에 고팍스의 지분 인수를 통해 국내 시장 복귀를 추진 중이며, 바이비트는 코빗 인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FIU의 강도 높은 제재는 한국 암호화폐 시장의 제도권 편입을 위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자금세탁방지와 고객 보호를 위한 기준을 강화함으로써,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시장 환경을 만들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다만 거래소 입장에서는 수백억 원대의 과태료와 운영 제한이 단기적인 타격이 될 수밖에 없으며, 업계 전반의 시스템 개선과 리스크 관리 역량 강화가 절실한 시점이다.
면책 조항: 코인스피커는 공정하고 투명한 보도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기사는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재정 또는 투자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매우 빠르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이 콘텐츠를 기반으로 어떠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반드시 별도의 조사를 수행하시기 바라며, 필요 시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권장합니다.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