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와이즈 자산운용(Bitwise Asset Management)은 현물 체인링크(Chainlink) ETF를 미국 예탁결제공사(DTCC)에 등재했으며, 이는 해당 펀드가 수주 내로 출시될 수 있다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
비트와이즈(Bitwise)의 현물 체인링크(Chainlink) 상장지수펀드(ETF)가 미국 예탁결제공사(DTCC) 등록 목록에 등재됐다. 이는 일반적으로 ETF 출시가 점차 가까워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다만, 이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해당 ETF 승인에 동의한다는 보장은 아니다.
비트와이즈, 체인링크(LINK) ETF 승인에 한 발 더 근접
11월 11일, 비트와이즈 체인링크 ETF(Bitwise Chainlink ETF)가 DTCC의 ‘활성(Active)’ 및 ‘출시 예정(Pre-Launch)’ 카테고리에 등재됐다. 티커는 CLNK로 등록되었다.
이는 해당 ETF 출시를 위한 준비 작업이 진행 중임을 시사하며, 과거 사례를 고려하면 승인에 가까워졌다는 강한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다만, 이러한 움직임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현물 체인링크 ETF의 거래를 승인한다는 보장은 아니다.
Bitwise Chainlink ETF $CLNK listed on DTCC pre-launch funds list 🔥$LINK pic.twitter.com/4sgYnxGkE5
— Zach Rynes | CLG (@ChainLinkGod) November 12, 2025
한편, 비트와이즈 자산운용(Bitwise Asset Management)은 지난 8월 체인링크(LINK) 가격을 반영하는 현물 체인링크 ETF의 S-1 등록 서류를 처음 제출했다.
회사는 신탁의 지분이 미국 내 주요 증권거래소에 상장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당시에는 구체적인 상장 거래소를 아직 결정하지 않은 상태였다. 해당 ETF는 델라웨어 법정신탁(Delaware statutory trust) 구조로 설계될 예정이다.
또한 해당 ETF의 순자산가치(NAV)는 ‘CME CF 체인링크-달러 기준가(뉴욕 버전)’에 연동되며, 이 지표는 씨에프 벤치마크(CF Benchmarks)가 산출·관리한다.
기사 작성 시점 기준, 비트와이즈는 아직 체인링크 ETF와 관련해 Form 8-A를 제출하지는 않았다. 이 문서는 ETF가 거래소에서 거래되기 전에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최종 단계 서류 중 하나로, Form 8-A가 제출되면 ETF 출시는 보통 임박한 것으로 간주된다.
미국 예탁결제공사(DTCC)에 현물 XRP ETF 5종 등재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 카나리 캐피탈(Canary Capital), 21셰어스(21Shares), 코인셰어스(CoinShares), 그리고 비트와이즈(Bitwise)는 현물 XRP ETF를 미국 예탁결제공사(DTCC)에 등재했다.
코인스피커(Coinspeaker)는 이 움직임을 미국 출시가 수주 내에 이뤄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핵심적인 단계라고 평가했다.
비트와이즈 외에도 대형 자산운용사 그레이스케일(Grayscale) 역시 현물 체인링크 ETF 상장을 신청했다. 9월 8일 SEC에 제출된 서류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은 기존 체인링크 트러스트(Chainlink Trust)를 현물 ETF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더보기: 2025년 가장 주목받는 알트코인은? — 비트코인을 대체할 알트코인 순위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