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뉴스

뉴스 - Page 2

사토시 시대 고래, 비트코인 8만개 매도… 비트코인도 좋지만, 지금은 이더리움?
작성자 • 2 mins read
뉴스, 비트코인 뉴스, 암호화폐 뉴스

사토시 시대 고래, 비트코인 8만개 매도… 비트코인도 좋지만, 지금은 이더리움?

작성자 • 2 mins read

14년 전 채굴된 비트코인을 보유해온 ‘사토시 시대 고래’의 전량 매도와 관련해,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이 이 중 1만 BTC를 거래소로 이체한 정황이 포착됐다. 이는 장외거래(OTC)를 통한 대규모 매도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텔레그램, 규제 문제 해결 후 미국 시장에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 출시
작성자 • 2 mins read
뉴스, 암호화폐 뉴스

텔레그램, 규제 문제 해결 후 미국 시장에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 출시

작성자 • 2 mins read

텔레그램 메신저(Telegram Messenger LLC)와 톤 재단(TON Foundation)은 7월 22일부터 통합형 톤 월렛(TON Wallet) 서비스를 미국 시장에 출시하며, 미국 사용자들도 텔레그램 앱 내에서 암호화폐를 직접 매수, 매도, 거래할 수 있게 됐다.

PNC 은행, 코인베이스와 파트너십 체결…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
작성자 • 3 mins read
뉴스, 암호화폐 뉴스

PNC 은행, 코인베이스와 파트너십 체결…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

작성자 • 3 mins read

미국 7위 은행인 PNC은행이 코인베이스(Coinbase)와 손잡고 암호화폐 거래 및 수탁 서비스를 자사 플랫폼 내에서 직접 제공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기관 투자자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며, 디지털 자산의 전통 금융권 내 확산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마라 홀딩스, 8억 5,000만 달러 자금 조달 계획…BTC 보유 늘린다
작성자 • 3 mins read
뉴스, 암호화폐 뉴스

마라 홀딩스, 8억 5,000만 달러 자금 조달 계획…BTC 보유 늘린다

작성자 • 3 mins read

마라 홀딩스(MARA Holdings)가 2032년 만기 전환사채를 통해 8억 5,000만 달러(약 1조 1,636억 6,500만 원) 규모의 자금 조달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최근 1년 사이 두 번째 대규모 자금 조달 계획으로, 조달된 자금은 주로 비트코인(BTC) 보유량 확대와 채굴 인프라 업그레이드에 사용될 예정이다.

트럼프 GENIUS 법안 서명… 테더, 미국 재진출 초읽기
작성자 • 2 mins read
뉴스, 암호화폐 뉴스

트럼프 GENIUS 법안 서명… 테더, 미국 재진출 초읽기

작성자 • 2 mins read

트럼프 대통령의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 서명 이후, 테더(Tether)는 미국 시장 재진출을 위한 막바지 준비를 진행 중이다. 테더 CEO 파올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자사의 복귀 전략을 밝히며, 기관 대상 결제 및 정산 서비스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확인했다.

비트코인·이더리움·솔라나 강세 지속…암호화폐 펀드 자금 유입 사상 최고치
작성자 • 3 mins read
뉴스, 암호화폐 뉴스

비트코인·이더리움·솔라나 강세 지속…암호화폐 펀드 자금 유입 사상 최고치

작성자 • 3 mins read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는 한 주 동안 43억 9,000만 달러(약 6조 794억 원)가 유입되었으며, 이에 따라 연초 이후 누적 유입액(YTD)은 270억 달러(약 37조 4,085억 원)에 도달했다.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계속해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美 5개 은행, 리플 라이선스 승인에 제동… XRP는 사상 최고가 근접
작성자 • 3 mins read
뉴스, 암호화폐 뉴스

美 5개 은행, 리플 라이선스 승인에 제동… XRP는 사상 최고가 근접

작성자 • 3 mins read

XRP 가격이 3% 상승해 3.70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리플이 추진 중인 연방 신탁은행 인가 신청에 대해 미국 내 주요 은행 협회들이 공식적으로 반대 의견을 제출하며, 규제 당국에 심사 지연과 공공 검토 절차를 요청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